@Rest 의 정의
"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" 의 약자
자원을 이름(자원의 표현)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(정보)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.
즉, 자원의 표현에 의한 전달
@ 이전 방식
GET 방식 : 게시판, 게시글, 회원정보를 가져올 때만 사용하는 용도
POST 방식 : 특정한 게시물을 등록할 때 사용하는 용도 ex)insert, select ....
@ REST FULL URI
- GET ▶ SELECT
CRUD 에서 R ( READ)
- POST ▶ INSERT
- PUT, PATCH ▶ UPDATE
- DELETE ▶ DELETE
=> 같은 URI 로 다른행동을 하게 만들 수 있다.
- GET/movies ▶ 영화 전체 목록들을 조회
- GET/movies/:id ▶ 특정 영화만을 조회
- POST/movies/ ▶ 신규 영화를 등록
- PUT/movies ▶ 목록에 등록된 영화를 수정
- DELETE/movies ▶ 목록으로부터 삭제'
=>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쳐 스타일이다.
=> REST는 네트워크 상에서 Client 와 Server 사이의 통신 방식 중 한가지 이다.
즉, 하나의 URI 로 http의 method 요청 방식을 자원의 표현에 따라 맞는 방식으로 지정하여 각각 다른 상태를 처리
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을 의미
@ REST API 의 CRUD method 처리방식
- Create ▶ POST
- Read ▶ GET
- Update ▶ PUT
- Delete ▶ DELETE
@ 장점
-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이 가느하다.
- Http 프로토콜이 제공하는 uri 나 요청방식 사용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별도의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없다.
@ 단점
- 명확한 표준이 존재하지 않는다.
- 구형 브라우저에서 사용에 제약이 발생한다.
출처: gmlwjd9405.github.io/2018/09/21/rest-and-restful.html
@RESTful 이란
: RESTful 은 일반적으로 REST 라는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웹 서비스이다.
: ' REST API ' 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'RESTful' 하다 라고 한다.
'개발노트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XML 사용시 필수 넣어줘야 하는 코드 (0) | 2020.09.25 |
---|---|
JSON 의 개념 (0) | 2020.09.15 |
Oracle 계정 생성하기 Using CMD 창 (0) | 2020.09.15 |
[미완성]자바스크립트 & JQuery & Ajax (0) | 2020.09.14 |
HikariCP 등록 (0) | 2020.09.0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