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개발노트/GIT

Git 기초

by vendi2 2020. 9. 14.

@ Git 저장소 만들기

   만들고 싶은 Git 저장소 위치로 이동한다.

 

 $ cd /java_program

   저장소 생성 

 $ git init

@ Working directory

   : Tracked(관리 대상임) + Untracked(관리 대상이 아님)으로 나눈다.

 

- Tracked 파일

  Unmodified, Modified, Staged   => 3가지 상태 중 1가지의 상태에 속해있는다.

  => Git 이 알고 있는 파일

 

https://git-scm.com/book/ko/v2/Git%EC%9D%98-%EA%B8%B0%EC%B4%88-%EC%88%98%EC%A0%95%ED%95%98%EA%B3%A0-%EC%A0%80%EC%9E%A5%EC%86%8C%EC%97%90-%EC%A0%80%EC%9E%A5%ED%95%98%EA%B8%B0

 

 마지막 커밋 후 아무것도 하지 않은 상태 (Unmodified) 

  ---> 어떤 파일 수정 하는 순간 (Modified)

  ---> 실제로 커밋을 하기 위해서는 수정한 파일을 Staged 상태로 만든다 

  ---> Staged 파일을 커밋하면 다시 Unmodified 로 돌아온다. 

 

==> 해당 사이클을 반복한다.

 

@ 파일의 상태를 확인

  $ git status 

@ Git 저장소 디렉터리의 내용

  - 저장소 새로 한개 만들기

 

$ git --version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: 버전 확인
$ mkdir 저장소 && cd 저장소              : 파일 생성
$ git init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:  저장소 생성
$ ls -A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:  전체 파일 확인
 

@README.md 파일 추가

 

$ echo '# 실험용 저장소' > README.md      : README.md 파일에 ' #실험용 저장소 ' 라는 글이 적인 파일 생성
$ cat README.md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: 파일 내용확인
$ git status
$ git add README.md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: README.md 파일 추적하기
$ git status

'개발노트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it 활용해서 이클립스에 작업 내용 업로드 하기  (0) 2020.10.05
Git config 설정 (계정설정)  (0) 2020.09.27
Git 기초2  (0) 2020.09.14
git 사용방법  (0) 2020.09.14

댓글